알바 4대 보험 완벽 정리 (2025 최신 가이드)
알바도 4대 보험 적용 대상입니다.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 가입 의무와 요율, 미가입 시 불이익까지 종합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보험별 글에서 확인하세요.
1. 알바도 4대 보험 적용 대상
많은 사장님이 “단시간 근로자는 예외 아니냐?”고 오해하시지만, 사실이 아닙니다.
월 8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알바라면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 모두 가입 대상이고,
산재보험은 하루 1명이라도 직원을 쓰면 무조건 가입해야 합니다.
2. 4대 보험이란? (종류별 요약 + 자세히 보기)
4대 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말합니다.
- 국민 연금: 한 달 8일·60시간 이상 근로 시 의무 가입
- 건강 보험(+장기요양): 국민연금과 조건 동일, 장기요양보험료도 함께 부과
- 고용 보험: 실업급여와 직결, 1명 이상 근로자 있으면 의무 가입
- 산재 보험: 사업주 100% 부담, 직원 급여 명세서에는 공제되지 않음
3. 4대 보험 요율 한눈에 보기
각 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나누어 부담하며, 산재보험만 사업주가 100% 부담합니다.
보험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비고 |
---|---|---|---|
국민연금 |
4.5% |
4.5% |
합계 9% |
건강보험 |
3.545% |
3.545% |
장기요양보험 별도 |
고용보험 |
0.9% |
0.9%+α |
실업급여 외에 추가 요율 있음 |
산재보험 |
없음 |
업종별 0.7~3% |
사업주 100% 부담 |
👉 자세한 계산식은 각 보험별 글에서 확인하세요.
4. 보험별 상세 안내
👉 국민 연금
👉 건강 보험
👉 고용 보험
👉 산재 보험
5. 4대 보험 가입 안 하면?
“알바는 단기니까 괜찮겠지” 하고 넘어가면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4대 보험 미가입 신고 → 근로자가 신고하면 소급 가입 + 과태료 부과
- 퇴사 후 분쟁 → 임금 체불·주휴수당·퇴직금 등에서 불리하게 작용
- 과태료·추징 → 미납 기간 전체에 대한 보험료 추징
6. 업종별 주의: 편의점·카페
편의점이나 카페처럼 알바 비중이 높고 교대가 잦은 업종은 4대 보험 누락 사례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단시간·단기 알바가 많다 보니, 사장님들이 “잠깐 일하는데 굳이 4대 보험까지?”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편의점 4대 보험 미가입으로 직원이 신고해,
수개월 치 보험료를 소급 납부하고 과태료까지 부담한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카페·음식점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단시간 근로자라도 조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4대 보험에 가입시켜야 불이익을 막을 수 있습니다.
7. 4대 보험 계산기 활용하기
알바 4대 보험 종합 계산기
요율 설정 (필요 시 수정)
* 산재보험은 근로자 공제가 없고, 전액 사업주 부담입니다.
세부 내역 보기
사업주 -
사업주 -
사업주 -
사업주 -
(* 근로자 공제 없음)
* 총 인건비 = 월 급여 + (사업주 부담 합계)
✅ 두두키로 자동 확인
두두키만 있으면 4대 보험이 헷갈리지 않습니다.
출퇴근 기록만 남겨도 직원별로 4대 보험 가입 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해주고,
급여 명세서에는 국민 연금, 건강 보험, 고용 보험 공제를 반영합니다.
산재 보험처럼 사장님이 전액 부담하는 항목도 따로 표시해주니 놓칠 일이 없습니다.
👉 복잡한 계산기 돌릴 필요 없이, 두두키가 알아서 정리해주니 결과만 확인하면 됩니다.
알바 계약서 작성, 근무 일정 관리, 급여 정산… 가게 운영하면서 헷갈리고 어려운 부분이 있으신가요? 두두키가 사장님 입장에서 무료로 상담해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