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알바 주휴 수당, 꼭 지급해야 하나요? (조건·계산법 완전정리)

단기 알바도 주휴 수당을 줘야 할까요? 주휴 수당 조건과 기준, 계산법부터 5인 미만 사업장·주 3일 근무 사례까지 정리했습니다. 사장님이 자주 오해하는 ‘개근 요건’까지 깔끔히 설명드리니 꼭 확인해보세요.

“하루 이틀 쓰는 알바인데 주휴 수당도 줘야 하나요?”

많은 사장님들이 헷갈려하는 질문입니다. 특히 단기 알바, 단시간 근로자, 주 3일 근무 알바 같은 경우 어디까지 주휴 수당을 줘야 하는지 혼란스러우실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기 알바 주휴 수당을 중심으로, 지급 조건과 계산법, 그리고 사장님이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주휴 수당 뜻과 조건, 기준

주휴 수당은 근로자가 일정 요건을 충족했을 때, 법적으로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도록 한 제도입니다.

즉, 실제로 하루를 쉬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시간을 성실히 근무했을 때 하루치 임금을 더 보장하는 것입니다.

  • 조건: 1주 동안 약속된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 기준: 근로계약서나 스케줄에 정해진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결근 없음)

👉 정리하면, 주휴 수당은 일정 요건을 채운 근로자에게 “일주일 근무에 대한 추가 보상”으로 하루치 임금을 더 지급하는 장치입니다.


단기 알바도 주휴 수당을 받을까?

“단기 알바는 주휴 수당 안 줘도 된다”는 오해가 많습니다. 하지만 원칙은 간단합니다.

  • 일주일 이상 근무하고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며
  • 결근 없이 소정근로일을 채운 경우

단기 알바라도 주휴 수당 지급 대상이 됩니다.


개근 요건, 사전 일정 조율 시 어떻게 될까?

주휴 수당은 “소정근로일을 개근했는지”가 핵심입니다.

여기서 개근이란 무단결근이 없어야 한다는 뜻이지, 지각·조퇴까지 포함해 “완벽히 만근”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 사전에 사장님과 합의해 일정에서 제외된 날 → 소정근로일이 아니므로 결근으로 보지 않음
  • 계약·일정에 포함된 소정근로일인데 근로자가 안 나온 경우 → 결근으로 간주, 개근 요건 깨짐 → 주휴 수당 지급 불가

즉, 중요한 건 해당 근무가 ‘소정근로일’에 포함되느냐 여부입니다.

💡
대타 근무는 예외
대타로 나온 근무처럼 원래 스케줄(소정근로일)에 없던 근무는 주휴 수당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주휴 수당은 계약된 소정근로일만 기준이 됩니다.

특별한 상황별 주휴 수당

5인 미만 사업장

“우리 가게는 직원이 3명밖에 안 되니까 주휴 수당 안 줘도 된다”는 이야기를 종종 들으시죠?

하지만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주휴 수당 지급 의무는 있습니다.

주 3일 근무 알바

주 3일만 일해도 주 15시간 이상이면 주휴 수당 대상입니다.

예) 하루 6시간 × 주 3일 = 18시간 → 지급 대상

단시간 근로자 주휴 수당

단시간 근로자라도 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 주휴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주휴 수당 계산 예시

주휴 수당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휴 수당 = (1주 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

= 주 근로시간 × 20% × 시급

단, 1주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만 주휴 수당이 발생합니다.

  • 예시 1: 시급 10,000원, 주 20시간 근무→ 20시간 × 20% = 4시간분→ 주휴 수당 = 40,000원 (조건 충족, 지급)
  • 예시 2: 시급 10,000원, 주 30시간 근무→ 30시간 × 20% = 6시간분→ 주휴 수당 = 60,000원 (조건 충족, 지급)
  • 예시 3 (조건 미충족): 시급 10,000원, 주 12시간 근무→ 주 15시간 미만 → 주휴 수당 없음

👉 즉, 주 15시간 이상 + 소정 근로일 개근 조건을 충족해야 하고, 충족한 경우에만 “근로시간 × 20% × 시급”을 지급합니다.


주휴 수당 미지급 신고, 사장님이 두려워하는 상황

계약서 없이 운영하다가 알바가 퇴사 후 “주휴 수당을 못 받았다”며 신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과태료는 물론, 그동안 미지급된 수당을 한꺼번에 지급해야 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두두키로 실수 없는 주휴 수당 관리

두두키는 직원의 출근 기록을 기반으로 주휴 수당 지급 조건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 단기 알바든, 주 3일 근무 알바든, 5인 미만 사업장이든 조건만 충족하면 자동 반영
  • 대타 근무처럼 소정 근무일에 없던 일정은 주휴 수당 산정에서 제외 가능
  • 급여 정산 시 누락 없이 반영 → 미지급 신고 위험 최소화
  • 계약서 작성부터 급여 정산까지 한 번에 해결


결론

  • 단기 알바라도 조건만 충족하면 주휴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 5인 미만 사업장, 주 3일 근무, 단시간 근로자도 예외가 아닙니다.
  • 주휴 수당 지급 여부는 소정 근로일 개근 여부가 기준이며, 사전 일정 조율로 빠진 날은 결근으로 보지 않습니다.
  • 미지급 시 신고로 이어지면 사장님이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


👉 두두키를 사용하면 주휴 수당 계산을 자동화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알바 계약서 작성, 근무 일정 관리, 급여 정산… 가게 운영하면서 헷갈리고 어려운 부분이 있으신가요? 두두키가 사장님 입장에서 무료로 상담해드립니다.

무료 상담 신청
두두키 - Google Play 앱
알바 출퇴근부터 급여·계약서까지, 사장님 필수 근태관리앱
‎두두키
‎알바 출퇴근, 급여 정산, 계약서 작성, 명세서 발급… 매번 귀찮고 헷갈리셨나요? 두두키 하나면 1분 안에 끝납니다. 주요 기능 • 원터치 출퇴근 기록 직원들은 앱으로 간단히 출근/퇴근 체크. 사장님은 따로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 정리됩니다. • 실시간 급여 자동 계산 알바별 시급, 휴게시간까지 자동 반영. 주휴수당, 연장수당, 야간수당, 휴일수당까지 복잡한 4대 수당도 자동 계산됩니다. 급여 정산이 엑셀 없이도 정확하게 끝납니다. • 정산 및 급여 명세서 월별 근무 기록을 검토하고 정산을 확정할 수 있습니다. 정산이 시작…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