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수당 완벽 정리 (알바·편의점 사장님 필독, 2025 최신)
야간 수당은 밤 10시~새벽 6시 근무 시 지급해야 하는 법정 수당입니다. 알바·편의점 근무자도 예외가 없으며, 연장·휴일과 겹치면 가산율이 더해집니다. 계산법, 조건, 자주 하는 실수, 그리고 야근 수당과의 차이까지 정리했습니다.
1. 야간 수당이란?
야간 수당(야간 근로 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규정된 제도로, 밤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 일하는 경우 지급해야 하는 추가 수당입니다.
- 기본 시급(1배) + 야간 가산(0.5배) → 총 1.5배 지급
- 알바, 계약직, 정규직 구분 없이 모두 적용
예: 시급 10,000원 알바가 밤 11시~새벽 2시까지 3시간 근무했다면 →
10,000 × 1.5 × 3 = 45,000원 지급
2. 야간 수당 조건
많은 사장님이 “단기 알바는 예외 아닌가?” 하고 착각하시지만 ❌ 아닙니다.
야간 수당은 근로 형태와 상관없이 모두 적용됩니다.
- 시간 기준: 밤 10시~새벽 6시 사이
- 대상: 알바, 단기 근로자, 편의점 야간 알바 등 모든 근로자
- 편의점 야간 수당: 대표적으로 많이 문제가 되는 분야. 편의점 야간 알바는 반드시 야간 수당 지급 대상입니다.
3. 야간 수당 계산법
야간 수당 계산법은 단순합니다.
야간 수당 = 통상임금 × 1.5 × 야간 근로 시간
📊 예시
- 시급 10,000원, 야간 4시간 근무 → 10,000 × 1.5 × 4 = 60,000원
- 월급 2,200,000원 (209시간 기준, 시급 약 10,526원), 야간 6시간 근무 → 10,526 × 1.5 × 6 = 약 94,734원
4. 겹칠 때 가산 (연장·휴일과 함께)
야간 수당은 다른 수당과 중복 가산됩니다. 즉, **기본 근무 수당(1배)**에 휴일·연장·야간 가산분이 각각 더해지는 구조입니다.
- 연장 + 야간 = 1배 + 연장 0.5배 + 야간 0.5배 = 2.0배
- 휴일 + 야간 = 1배 + 휴일 0.5배 + 야간 0.5배 = 2.0배
- 휴일 + 연장 + 야간 = 1배 + 휴일 0.5배 + 연장 0.5배 + 야간 0.5배 = 2.5배
📌 예시
휴일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4시간 근무 →
기본 1배 + 휴일 0.5배 + 야간 0.5배 = 총 2.0배 적용
야간 수당 계산기 (2025)
* 월급 시 환산 시급 = 월급 ÷ 209시간.
* 예: 휴일 야간 4시간 근무 → 기본 1배 + 휴일 0.5배 + 야간 0.5배 = 2.0배 적용.
5. 사장님이 자주 하는 실수
- “편의점 알바는 예외다” → ❌ 틀림. 반드시 지급해야 함.
- “단기 알바는 야간 수당 없어도 된다” → ❌ 틀림. 시간 조건만 맞으면 무조건 지급.
- 주휴수당과 혼동 → 주휴수당은 일하지 않아도 주는 돈, 야간 수당은 야간에 일했을 때 추가로 주는 돈.
- 포괄임금제 오해 → 포괄임금제 계약을 했더라도 실제 야간 근로가 발생하면 별도로 야간 수당을 지급해야 함.
❓ 용어 정리: 야간 수당 vs 야근 수당
- 야간 수당: 법적 용어. 22시~06시 근무 시 통상임금의 1.5배 지급. 알바·편의점 등 모든 업종에 적용.
- 야근 수당: 법적 용어는 아님. 주로 사무직에서 “퇴근 후 남아 일하는 것”을 표현할 때 쓰는 말. 법적으로는 연장 근로 수당 또는 야간 수당에 포함되어 계산해야 함.
✅ 두두키로 자동 계산
야간 수당은 계산법은 단순해도, 실제 현장에서는 출퇴근 시간 확인 → 야간 시간만 따로 계산 → 연장/휴일 겹침 반영까지 하려면 꽤 번거롭습니다.
👉 두두키에서는
- 📱 출퇴근 기록을 앱에서 자동 수집
- ⏱ 야간 근로 시간 자동 판정 → 수당 자동 계산
- 👥 직원도 앱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 투명성 확보
- 🧾 급여 명세서에 “야간 수당”을 별도 항목으로 표시
사장님은 계산 실수 걱정 없이, 두두키에서 자동으로 산출된 금액만 확인하면 됩니다.
알바 계약서 작성, 근무 일정 관리, 급여 정산… 가게 운영하면서 헷갈리고 어려운 부분이 있으신가요? 두두키가 사장님 입장에서 무료로 상담해드립니다.
